맞벌이부부, 정부 아이돌봄 서비스

맞벌이 부부 국가보육 신청방법

만 12세 미만의 맞벌이를 하거나 갑자기 아이를 돌볼 수 없게 된 경우, 보육교사가 와서 양육을 도와주는 정부의 보육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보육원의 지원 목표

보육원의 지원 목표

① 자녀의 연령이 만 12세 이하 ② 부모의 취업 등으로 인한 학력격차 발생 ③ 기준 중위 가구 소득 150% 이하

2022년연소득 평균
하나가정 2가정 가정 4가정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5가정 6가정 7가정 8일한 사람 이상
6,024,515 6,907,044 7,780,592 추가 1인당 873,588원 인상

서비스 종류별 정부 지원 금액은 가계 소득에 따라 다르며, 소득 한도를 초과하더라도 자비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보육료, 보육료, 가족수당은 합산하지 아니한다.

보육 선택 기준

어린이의 연령 기준은 서비스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서비스 종류 어린이 연령 기준
아르바이트 생후 3개월~12세 어린이
종일 보육 생후 3개월~36개월의 영유아

양육 격차 가족 기준 및 우선 순위(단, 부모 모두 무직자로서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육 제외)

① 맞벌이 가정, 맞벌이 한부모 가정

② 장애가 있는 부모(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장애인인 경우)

* 단, 휴직 또는 전일제 간병인이 비장애인인 경우에는 학력격차를 인정하지 않음.

③ 자녀가 여러 명인 가정

* 12세 미만 어린이 3명 이상

* 36개월 이하 어린이 1명 이상을 포함하여 12세 이하 어린이 2명 이상

* 중증(중증)장애아동을 포함한 2자녀 비장애아동 돌봄

④ 기타 보육이 필요한 가정

*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감지할 수 있는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예: B. 장기 입원

*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재학 중이거나 취업 준비 중인 경우(확인 가능해야 함)

* 산모가 출생으로 인해 자녀의 형제자매를 돌볼 수 없는 경우

소득기준은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한다.

* 한부모가정, 장애부모가정, 장애아동가정, 어린부모가정도 ‘임시방식'(정규소득 75% 이하)으로 지원

가계소득은 납부한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산정하며, 건강보험 미가입 사업장 근로자의 소득은 별도로 표시한다.

세대원의 범위는 세대별 주민등록표의 가족구성원, 직계비속 및 비속, 동거동거자녀의 두 번째 배우자를 말합니다.

소득합산 대상자 집단은 가구원 집단과 동일합니다.

아버지나 어머니가 주민등록등본에 따라 자녀와 다른 곳에 거주하여 동거하지 않더라도 소득이 가산되어 가구원수에 포함됩니다.

이혼한 부부의 경우에는 자녀의 기본증명서에 친권자가 있거나 자녀와 동거하는 부 또는 모의 소득만 산정하여 세대원수에 포함합니다.

보육 내용

부모가 직장에 다니는 등 12세 미만 아동의 경우에는 베이비시터가 대상자를 찾아와 집에서 돌봐준다.

케어 서비스의 종류 렌더링된 서비스
시간제 보육 부모님 오실 때까지 임시보육, 게임, 어린이집 및 초등학교 지원, 급식 및 간식 준비 등

* 영유아 파트타임 돌봄의 경우, 풀타임 베이비돌봄

어린아이를 위한 하루종일 돌봄 이유식 먹이기, 젖병 소독, 기저귀 갈기, 목욕 등 서비스

보육료 국가보조금(2022년부터)

유형 A: “15.1.1. 이후에 태어난 아이들 / B형: “14.12.31. 더 일찍 태어난 아이들

(일반 가족 시간제 보육)

유형(평균중위소득) 정부 보조금
가처분 (기준 중위소득의 75% 이하)
B유형(기준 중위소득의 120% 미만)
다형성(표준 중위 소득의 150% 미만)
A타입: 8,968원, B타입: 7,913원
A타입: 6,330원, B타입: 2,110원
A타입: 1,583원, B타입: 1,583원

(한부모, 장애부모, 장애아동, 청소년부모를 위한 시간제 돌봄)

유형(평균중위소득) 정부 보조금
가처분 (기준 중위소득의 75% 이하)
B유형(기준 중위소득의 120% 미만)
다형성(표준 중위 소득의 150% 미만)
A타입: 9,495원, B타입: 8,440원
A타입: 6,330원, B타입: 2,110원
A타입: 1,583원, B타입: 1,583원

(일반 가정의 어린 자녀를 위한 종일 프로그램)

유형(평균중위소득) 정부 보조금
가처분 (기준 중위소득의 75% 이하)
B유형(기준 중위소득의 120% 미만)
다형성(표준 중위 소득의 150% 미만)
8,968원
6,330원
1,583원

(한부모, 장애부모, 장애아동, 십대부모 전업유아 제도)

유형(평균중위소득) 정부 보조금
가처분 (기준 중위소득의 75% 이하)
B유형(기준 중위소득의 120% 미만)
다형성(표준 중위 소득의 150% 미만)
9,495원
6,330원
1,583원

보육 신청 절차 및 절차


보육 서비스 절차

아동의 등록된 주소지에 거주하는 아동의 부모 또는 실제 보호자가 신청자가 됩니다.

복지에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tbu/앱/메인/메인

www.bokjiro.go.kr

보육의 맥락에서 보육 수당 및 부모 수당에 대한 질문

부모님 연봉 질문, 몇살까지, 얼마 나오나요?

부모님 연봉 질문, 몇살까지, 얼마 나오나요?

양육수당에 대한 질문 5 질문 5 답변 매달 양육수당이 있다고 합니다. 양육수당이란 무엇이며 언제 지급되나요? 그리고 유아수당과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양육수당은 2배로 받을 수 있나요?

www.miniknowledge.co.kr

육아휴직, 출산휴가, 1.5년 연장 및 급여 신청?

육아휴직, 출산휴가, 1.5년 연장 및 급여 신청?

육아휴직, 출산휴가, 1.5년 연장 및 급여 신청? 출산 전후 육아휴직과 육아휴직의 차이, 공동육아로 육아휴직을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 육아수당 신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ww.miniknowledge.co.kr